새들에게도 사투리 있다
지난 6월 경북 경주시 충효동의 한 아파트 단지가 발칵 뒤집혔다. 밤마다 귀신이 흐느껴 우는 것처럼 "히이~"하는 소리가 들렸기 때문이다. 밤잠을 설치던 주민들은 급기야 경찰에 신고했지만 아무도 해답을 찾아내지 못했다.
경희대 생물학과 윤무부 교수가 밝혀낸 범인은 호랑지빠귀. 이 새는 번식기 때 한밤중에 높고 가느다란 소리를 내기 때문에 귀신새라고도 불린다. 사람들에게는 이상하게 들리는 소리가 그들만의 짝짓기 신호였던 것이다. 동물도 나름대로의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한다. 침팬지는 멀리 떨어져 있을 때 "우후우후우후후~"하는 소리로 서로의 존재를 알린다.
서울 휘파람새와 지방 휘파람새 수컷이 암컷을 부르는 소리를 녹음해 분석한 결과 지역마다 주파수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. 새들에게도 사람처럼 사투리가 있는 것이다. 또 개들은 특유의 표정이나 몸짓으로 자신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전달한다. 마치 사람의 감정 변화가 얼굴에 나타나는 것과 같다.
사람과 동물은 어디까지 의사소통이 가능할까. 침팬지는 수화를 배우거나 문장을 만드는데 2-3살 아기 정도의 능력을 보인다. 또 개는 오랜 기간 동안 사람에 의해 길러지면서 낑낑거리는 소리를 낼 때 보상이 있거나 사랑받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.
과학동아 12월호는 동물 세계의 커뮤니케이션을 특집 기사로 집중 조명했다. 동물 사이에서 이뤄지는 그들만의 언어, 그리고 동물과 사람의 의사소통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를 총망라했다.
* 인터넷 동아 사이언스(www.dongaScience.com)의 온라인 과학동아에서 2003년 12월 1일부터 과학동아 2003년 12월호를 보실 수 있습니다. 온라인회원과 과학교사회원은 과학동아 전체기사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. 아래에 과학동아 2003년 12월호 기사 중 일부를 소개합니다.
* 과학동아 기사 중 (공개기사)라고 표시된 기사는 모든 회원에게 2주동안 무료로 공개되는 기사입니다.
고객센터※ 주말, 공휴일 휴무
02-6749-2002